TOP

NEWS

교정사목소식

[평화신문] 신자 10명 중 5명·비신자 7명 사형제 찬성

홍보부 2014-11-26 조회  1174

2014. 11. 23발행 [1291호]
 
신자 10명 중 5명·비신자 7명 사형제 찬성

주교회의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 ‘생명과 가정에 대한 설문조사’ 결과 <중>



















생명

생명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‘난자와 정자가 하나로 합쳐져 수정된 순간부터’라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, 신자( 51.5%)와 비신자(39.6%) 간 차이가 컸다.

자살과 낙태/임신중절은 80% 가량이 반생명적이라고 평가한 반면 배란법은 신자 21.4%, 비신자 20.4%만이 반생명적이라고 답했다. 또 시험관 아기(신자 50.1%, 비신자 39.9%), 안락사(72.8%, 63.1%), 사형제도(70.1%, 60.4%) 등이 반(反)생명적 행동이라고 응답했다. 신자 비율이 훨씬 높았다. 

우리 사회 생명경시 풍조에 대해 대다수 신자와 비신자는 ‘과거에 비해 심각해졌다’(신자 84.4%, 비신자 84.6%)고 평가했다. 그 이유에 대해서는 신자와 비신자 모두 ‘개인주의, 집단이기주의, 시민의식 결여’를 가장 많이 꼽았다.

인간 배아줄기 세포 연구는 신자의 경우 반대(55.8%), 비신자는 찬성(56.4%) 비율이 높았다.



성(性)

혼전 성관계에 대해 신자와 비신자 모두 과반수가 ‘당사자끼리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혼전 성관계를 가질 수 있다’( 63.7%, 69.1%)고 응답했다. ‘이유와 상관없이 혼전 성관계는 가져서는 안 된다’는 비율은 신자 33.1%, 비신자 23.2%로, 신자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것으로 조사됐다.

기혼자 10명 중 2명은 배우자 외에 정신 혹은 육체적 외도 경험이 있었다. 배우자 이외 다른 사람과 육체적 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 신자 82.4%가 안 된다고 응답했으나 비신자는 신자보다 10%p 낮았다.

응답자 대다수가(92.6%, 93.0%) 우리나라의 성매매/성 상품화가 ‘심각하다’고 느끼고 있었다. 간통죄 처벌은 대다수(84.6%, 83.8%)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


출산/자녀관

‘자식은 꼭 낳아야 한다’는 응답은 신자 40.5%, 비신자 40.1%로 2003년 조사 결과(신자 기준) 대비 10% 정도 줄었다. ‘자식은 가능하면 낳는 것이 좋다’는 신자 49.3%, 비신자 47.3%로 조사됐다. 

자녀 1명 출산 시, 남아(신자 15.6%, 비신자 20.5%)보다 여아(32.1%, 34.6%) 선호도가 높았다. 2003년 조사 결과(남아 22.7%, 여아 12.1%)와 상반된 것으로, 남아 선호 사상이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준다.

임신 중절에 대해서는 신자가 비신자보다 보수적인 견해를 갖고 있었다. △임신 중절의 부분 허용(75.3%, 78.5%) △완전 허용(8.0%, 13.0) △법적으로 허용해서는 안 된다(16.7%, 8.5%)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.

신자의 피임 방법은 영구피임시술(36.3%)과 콘돔(33.3%)이 높은 반면 비신자는 콘돔(35.1%)과 영구피임시술(28.0%) 순이다. 또 신자 10명 중 3명은 사후 피임약을 낙태와 같은 의미로 인식했다. 



자살ㆍ안락사ㆍ사형 등 반생명적 행위


신자 9.1%, 비신자 13.9%가 ‘자살은 상황에 따라 할 수도 있다’고 응답해 10명에 1명꼴로 자살을 인정하는 경향을 나타냈다. 안락사의 법적 허용에 대한 반대는 신자 25.7%, 비신자 12.1%로 차이가 컸다. 또 사형제도는 신자 10명 중 5명이, 비신자는 7명이 찬성했다. 신자의 생명존중 의식이 비신자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.

생명 존엄성 회복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신자 93.6%, 비신자 90.1%가 ‘필요하다’고 응답해 신자와 비신자 모두 생명 존엄성 회복 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. 

이를 위한 가장 시급한 일로는 ‘기본적 인권의 제도적 보장’을 꼽았으며, △생명 의식에 대한 교육, 가치관의 변화 △체계적인 생명 운동의 확산 △생명 의식 고취를 위한 종교의 역할 회복 △반생명적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가 뒤를 이었다. 이는 신자 비신자 모두 같았다. 

남정률 기자 njyul@pbc.co.kr 

  • 첨부파일